Tag Archives: 이타이푸발전소

브라질 파라과이 이타이푸댐에 서다

좀 걸었더니 동네가 나왔다. 사람들이 나를 보더니 자기들끼리 수근거린다. 어떤 아이 엄마가 반색을 하면서 내게로 왔다. 자기 집에 가서 차를 한잔 하자고 했다. 왜 그러냐고 했더니 나더러 영화 가라데 키드에 나오는 팻 모리따라는 배우가 아니냐고 물었다.

나는 이 말을 외국여행 때 하도 많이 들어서 이골이 난 터이지만 파라과이 이역 땅에서 이 말을 들으리라고는 꿈에도 몰랐다. 이타이푸 구경은 못했지만 즐거운 하루였다.

다음날 우정의 다리를 걸어 건너서 브라질로 갔다. 다리 바로 직전에 파라과이 이민사무실이 있었다. 들어가서 파라과이에 왔었다는 도장을 찍어 달라고 하였더니 안 된다고 하였다. 왜 그러냐고 하였더니 미국여권은 파라과이 도착 전에 파라과이 비자를 받아야 하는데 당신 여권을 보니 비자도장이 없다는 것이었다. 파라과이 비자도장이 없으니 입국했었다는 도장도 찍어 줄 수가 없다고 하였다.

다리 밑을 내려다 보았더니 저 깊은 곳에 강이 흐르고 있었다. 강은 푸르고 깊었다. 다리는 길었고 중간 중간에 오목하게 파진 곳이 있어서 쉬어갈 수 있었다. 사가지고 온 닭 모가지순대와 럼주를 푸른 물을 바라보며 취하도록 먹었다.

다리를 건너가 브라질 이민국 사무실에서 입국수속을 마쳤다. 시내버스를 타고 미리 예약해둔 호스텔을 찾아갔다. 어떤 손님이 나더러 버스를 잘못 탓 다고 말하였다. 그러자 조수가 괜찮다고 하였다. 자기가 내려 주는 데서 조금만 걸어가면 된다고 하였다.

버스를 내렸는데 한적한 곳이었다. 조금 가니 남자노인 두 사람이 가게 앞에 앉아서 술을 먹고 있었다. 종이를 꺼내 들고 어떻게 가야 하느냐고 물었더니 나를 신기하게 쳐다보았다. 가는 길은 길 가운데 중앙선에 잔디를 심어놓고 큰 나무들도 있었다. 차들이 별로 다니지 않았다. 잔디 위로 올라가서 걸었다.

할머니 한 분이 집 앞에 있었다. 종이를 꺼내 들고 물어 보았더니 모르겠다고 한다. 나는 힘들고 걷기도 싫어졌다. 여기서 좀 자자고 했더니 안 된다고 했다. 조금 더 가니 승용차 한대가 지나았다. 손을 들었더니 섰다. 젊은 청년이 타고 있었다. 길을 물었더니 차를 타라고 하였다.

차가 골목길로 들어서니 호스텔이 나왔다. 돔 방의 바닥은 나무 판자였고 신발을 벗고 올라가게 되어있었다. 단층침대였다. 많은 서양 젊은이들이 와 있었다. 동양 사람은 나 뿐이었고 노인도 나 혼자였다.

내가 왔던 길에서 반대편으로 조금만 걸어가면 큰길이 나오고 버스정류장이 있었다. 버스는 다른 데서 출발해서 오는데 손을 들면 태워주었다. 포스이과수의 모든 시내버스는 어디서 출발하던지 모두 종합 터미널로 모인다. 여기서 자기가 가는 곳의 버스를 타고 가면 된다. 아주 편리한 제도라는 생각이 들었다.

호스텔에 짊을 풀고도 시간이 많이 남아서 이타이푸 발전소에 갔다. 입장 표는 공원에서 팔았고 대형버스로 사람을 싣고 발전소 안으로 들어갔다. 안내원을 따라다녀야 했다. 댐 밖의 경치도 구경 시켜주었고 발전소 안의 설비와 발전소 운전통제소도 보여주었다. 통제서는 안으로 들어 갈 수는 없고 대형 유리를 통해서 밖에서 구경하였다.

브라질과 파라과이 양국이 발전소에 대한 권한을 반반씩 소유하고 있다고 하였다. 발전소의 모든 시설은 두 나라가 같이 운영 하는데 시간을 반반으로 나누어서 한다고 하였다.

구경이 끝나니 차에 태우고 댐의 중간에 있는 브라질과 파라과이의 국경이 닿는 곳으로 데리고 갔다. 사람들이 버스에서 내렸지만 국경선을 넘어가는 사람은 없었다.

시내버스를 타고 이과수 폭포에 갔다. 정문을 들어가면 입장객들은 공원버스를 타고 폭포로 가야 한다. 한참을 달려서 폭포 앞에 내려놓았다. 판자 길을 따라가면 폭포 밑에 다다르게 된다. 가까운 곳에서 폭포를 올려다 보게 되어 있었다. 규모가 대 단 하여서 나이아가라 폭포보다 더 크다는 느낌을 받았다.

폭포구경을 마치고 위로 올라가니 음식점도 있었고 폭포를 같은 눈높이에서 볼 수 있는 전망대도 있었다.

서효원 선생님은 은퇴를 하고 세계여행을 백팩 하나만 메고 하신 분입니다. 본문은 전혀 손보지 않았습니다. 이해 바랍니다.<편집자주>